지난달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부동산 시장은 더욱 얼어붙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4월에는 아파트 공시가격 인상이 예정돼 있어서 집값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데요, <br /> <br />이사 성수기인 이번 달 이후, 주택시장은 어떤 흐름을 보일지 취재기자 연결해 짚어보겠습니다. 이하린 기자! <br /> <br />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칠 줄 모르고 올랐던 집값이 최근 몇 달 사이 진정된 모습인데요. 간단히 정리해 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매주 목요일마다 한국감정원에서 발표하는 주간 주택 가격 변동률을 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까지 12주 연속 하락 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주는 한 주 전보다 0.14% 떨어졌는데, 5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겁니다. <br /> <br />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 4구의 아파트값은 0.41% 떨어져, 2012년 9월 넷째 주 이후 330주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집값이 떨어지면 기다리던 매수자들이 서둘러 나설 법도 한데, 실제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동산은 심리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집값이 오를 땐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던 사람들이 막상 하락 전환하면 더 떨어질 것을 기대해 섣불리 나서지 않는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동시에, 가격이 더 떨어지기 전에 빨리 팔려고 하는 매도자도 드물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집값은 결국 오른다는 '학습효과'가 작용한 영향입니다. <br /> <br />'양도세 중과'라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집을 팔면 많게는, 시세 차익의 절반 가까이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집을 팔기보다는 자녀에게 사전 증여하거나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임대사업자의 세제 혜택이 줄었다고 하지만, 새로 사는 주택이 아닌 기존 보유주택에 대해선 혜택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매수자도 매도자도 망설이는 상황인 만큼 거래량 통계도 크게 줄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12월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을 그래픽으로 보시죠, 1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70%와 80% 이하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실거래가 신고는 계약 후 60일 이내입니다. <br /> <br />30일로 단축될 예정이지만 아직 시행 전이고요, 따라서 계약이 됐는데 아직 신고되지 않은 거래가 있을 수 있는데요, <br /> <br />그런 부분을 고려하더라도 거래가 크게 준 건 분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앞으로 집값 전망,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. 전문가들 의견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서 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20711524685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